I. 모고 2023 상상로스쿨 모의고사 1회(언어) 2025 김재형 모의고사 4회 (추리) II. 목표 : ⇀ 언어 : -2.5 제시문/65min 비슷한 건 다른 것 ★ : 기본인 재독해를 자꾸 안 하고,, 재독해 STEP1)이 안 되면 다른 것도 할 수 없다. 기본에 충실하자. 문제가 어려울수록 재독해! 재독해! 재독해! 시험에서 이럴까봐 진짜 두렵다. 한 문제를 풀더라도 행동강령준수해서 풀기. ⇀ 추리 : 120min 실행 ★★ : 1-10번에 해당하는 1set은 실행을 꾸역꾸역해서 시간 부족했는데 2set부터는 실행을 1…
I. 모고 2023 상상로스쿨 모의고사 4회(언어) 2025 김재형 모의고사 1회(추리) II. 목표 : ⇀ 언어 : -2.5 제시문/65min <보기> 문제 끝까지 풀기 ★★★ ⇀ 추리 : 120min 실행 ★★ : 시험이 가까워오니까 해야 할 것들은 안 하고(<보기>의 구획, 실행 끝까지 하기, 선지 간 비교 등) 얼레벌레 넘어간다. 정신차리자. 맞출 것들을 확실하게 맞춰야 흔들리지 않는 기본 점수가 획득된다. 원래 하던대로 하면 똑같은 악순환이다. III. 목차 1. 언어이해 <2번> -…
I. 모고 언어 2014 II. 목표 : ⇀ 언어 : 재독해 관계 실행 ★★★ : (시험의 전체 운용에 문제가 있음. 제시문 25분 전략으로 연습하기.) → 효과 있는 듯. -2 제시문으로 원래 수준 정도로 못 푼 정도고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사고가 퍼지는 걸 시간이 막아주는 느낌이다. III. 목차 1. 언어이해 2014 기출 <12번> - POINT : A/~A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 ① ‘당연 위법의 원칙&…
I. 모고 추리 2025 조성우 모고 4회 II. 목표 : ⇀ 추리 : 한 문단 전체 재독해 ★★★ III. 목차 추리논증 – 2025 조성우 모고 4회 <8번> - POINT : A의 B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ㄱ선지에서 A의 B인 어린나이의 미성년자들이 안 보여서 미성년자에만 대응을 하다 보니 맞는 선지로 판별했다. 어린나이의 미성년자=13세 미만/~어린나이의 미성년자=16세 미만 ⇛1. 분설해서 대응point가 맞는…
윤상근23년 6회 목표 두고가기 / 구획하기 아쉬운 점 두고가는 것은 잘 했으나, 재독해를 하지 않는다는 치명적 단점 발견 습관적으로 이해하면서 읽었던 습관을 다시 발견..! 두고 가는 것의 중요성 0 그러나 선지 풀때 네가 안다고 생각해서 그냥 넘어갔다가 틀리는 경우가 많았음 // 정답 고르기 전에는 근거를 확인하는 것으로!! 꼭! 선지를 분설하기 잘했으나, 뒤로 갈수록 퉁쳐서 읽고 재독해하러 가지 않는 양상이 발견됨.. 2번 point 비슷한 건…
수업 정리 최근 언어이해 특징 1. 단락 수 적을수록/ 어려울수록 단락 간 관계를 묻는 문제가 많이 등장한다. 24년 언어 : 칸트가 전체적으로 비판하는 문제가 등장했고 2. 두 차원으로 구획하고 변수를 더 의식하고, 관련된 하위 차원의 말로 패퍼된 것이 선지로 등장할 것이다. - 선지에 나온 일상어들이 어려워도 그것이 지문에서 의도한 표현이 있을 텐데.. 라는 생각! 무슨 이야기지? 바꿔서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ex. 24년 k 다양성 24년 필연적 결과 : 칸트에서 비판하는 무한소급을 의미한 것. / 어려운 추상…
II. 목표 : ⇀ 언어 : (선지) 분설 → 재독해 달성정도 ★☆☆☆ : 분설해서 재독해 가면 step1) → step2) 단계인데, 분설하지 않고 다른 선지 들고 step1) → step2) 이 과정이 모호하니까 자의적 해석 들어가고 시간 소요 多(다), 60min 기준으로 했는데 6 제시문 풀었으니 한 제시문 당 10min 꼴로 시간이 든다. 선지 판별할 때, 재독해 갈 것 추릴 순 있지만 추리고 분설 → 재독해 해야 할 때조차 주춤하면 안 된다. ⇀ 추리 : 구획 달성정도 ★★★☆
0414-0415 (21추리, 23언추 일부) 수업 들으면서 배운 점. 실전적으로 모르겠다면, 반대차원으로 떠올린다는 것!! (논리게임에서도 쓰임 _ 귀류법을 이용) (21추17) 법률형문제는 빠르게 치고 나가야하는 부분! 연결연결하면서~ (결과로 대응해도 되고 요건으로 대응해도 되고, 일단 선지에서 의도된 단어로 가! 그러고 그 사례가 다른 사례임을 인식해야하는데. 다른 것이랑 간섭되지 않도록?) 법률형 문제 중에도 논리퀴즈형 문제가 있다. 버릴지 말지 결단하면서 넘기면서 풀기 (최근에는 법률형 부분에서도 정답률…
0406 수업에서 깨달은 점 비슷한 건 다른거다 A의 b를 정말 강조한다 경쟁가설의 관계를 능동적으로 파악하려는 것이 중요하다. 비판하면 =경쟁가설임. / 따라서 A를 약화하다는 진술이 있을때 -a에 대응하거나, 비판하는 측면에서 대응해도 가능함. 사례가 한가지 입장에만 대응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때 이미 파악해둔 입장간의 관계를 통해서 대응하는태도. 일반원리를 추출하는 듯한 선지 : 사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라 인과관계를 잡아내는 것 중요함. -> 과학 실험문제 단어의 실행력 중요 ->…
수업에서 깨달은 점 : 대응할 부분이 없어서 정답이 아니고, 대응할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정답으로 고를 수 있다!! 사실일치문제에서 마지막에 두개가 남게 되면, 대응할 부분을 찾는 게 중요하다는 관점. 특히 전체를 요약하는 선지를 판단할 때 어려웠는데.. 이런 식으로 행동을 교정하려고 노력해야겠다. 전체를 요약하는 듯한 선지 : 1) 떼어 놓고 단어가 패퍼가 가능한 지 대응할 부분이 있는지 떨어져서 생각해보는 것도 필요 2) 상위차원의 어떤 형식과 구조를 필연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아닐까? (20-23) 뉘앙스로 맞는것 아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