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질문 언어이해에서 자주 사용하는 지문의 형식과 관련한 질의(feat. 멜랑콜리)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질의가 있어 글 남깁니다. 우선 질의를 하기 위해선 해당 내용을 알려드려야 할 것 같아 서술합니다.
한달 가량 수업을 들으며 선정하신 언어이해 지문들을 보고 든 생각인데, 언어이해에서 자주 사용하는 지문의 형식이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일반진술로 시작하여 구체진술로 마무리 짓는 각 대립항의 차원구획(범주)'입니다.
수업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지문을 보면, 서론(1문단)에 글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가 대립한다, ~의 흐름이 있다 등)에 대해 언급을 하고, 다음으로는 일반진술(개념) 등에 대해 서술하고 그것의 구체진술(예시 혹은 적용)을 서술하는 양상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저는 이를 기본 골자로 잡아보겠습니다.
(표1) 기본 골자
'갑'이라는 현상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견해가 대립된다.(1문단) A는 ~이다.(일반진술) 예를 들어 ~~(A의 구체진술) = A' B는 ~이다.(일반진술) 예를 들어 ~~(B의 구체진술) = B' C는 ....... |
그렇기에 독자(수험생)은 각 차원간의 관계를 집중해서 보아야 하는 것이구요.
(표1)을 기본 골자로 잡고 추가적인 내용 및 형식 으로 글의 흐름을 만든다고 생각이 추가적으로 들었습니다.
(표2) 글 흐름의 양상
1) '갑'이라는 현상에 상위차원을 글의 초반에서 잡는 경우, 이는 아래에 전개되는 것들을 포섭 2) A와 B가 서로를 비판하는 경우 3) 필자가 전지적 관점으로 두 이론을 전부 비판하는 경우 혹은 다른 무엇인가가 비판하는 경우 4) 각 이론을 종합한 무엇인가를 도출하는 경우 5) 시대별로 변화를 서술하는 경우 등등... |
1)~5)는 하나씩 나올 수도 있고 함께 섞여서 나올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독자는 상위차원끼리 공/차를 잡고, 하위차원에서도 공/차를 잡아야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며,
상위차원을 기본 골자로 잡고, 하위차원끼리의 공/차를 잡아야 할 수도 있고,
그 차원들 간의 대립이 있다면 이를 판단하고 추론해야 할 수도 있고
아니면 다른 무엇인가를 도출하는 과정을 따라야 할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위의 골자가 문제화될 경우는 다음과 같다고 정리해보았습니다.
(표3) 기본 골자 및 흐름에 따른 문제화 양상
1) A는 B'이다 (오답) -> 차원 구획의 문제 2) A와 B는 ~ (정/오) -> 공/차 문제 3) A는 B'를 ~점에서 ~한다 (정/오) -> 형식 및 추론 문제 4) '~갑' 인 경우, A이다. (오답) -> 상위차원 구획의 문제 등등... |
(표3) 이외에도 조금씩 변형된 많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지금 대표적으로 제 생각을 표현할 만한 문제들을 예시로 작성해보았습니다.
어찌됐건, (표1)에서 제시한 기본 골자를 무시할 수 없겠다는 결론으로 귀결되었습니다.
이제 질의드립니다.
- 위의 제 판단에 오류가 있는지, 너무 매몰된 사고는 아닐지, 시험적합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혹은 추가하시고 싶으신 개념이 있으시다면 고견 부탁드립니다.
- 이 또한 Link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을지 여쭙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주로 Link는 문제의 형식에 대한 경우가 많았는데 지문의 Link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멜랑콜리 지문의 경우, 구획이 명확하지 않은 지문이라고 서술해주셨는데 저는 생각이 조금 다릅니다. 위의 개념을 적용했기 때문인데요. 글의 전반부에서는 멜랑콜리라는 것에 대한 상위차원을 일반진술로 설명하면서 각 학자들의 견해를 구체진술로 구성했고, 후반부에 있어서는 사회적 모더니티와 문화적 모더니티로 구성된 별도의 하위차원을 구성하였으며, 그 하위차원 자체에서도 일반-구체진술이 진행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첫 독해시 위에서 설명한 것 같이 완전한 구획은 아니었어도 70%의 구획을 잡고 읽어갔습니다. 30%를 추가로 잡지 못한, 구획이 조금 어려웠던 이유를 설명하면, 1) 상위차원에 있어서도 일반-구체/하위차원에 있어서도 일반-구체가 있었다. 2) 그 두 차원간의 결합이 생소하다.
제가 구획한 것에 오류가 있는지, 너무 매몰되어있는 사고는 아닌지, 시험적합성은 어떤지 여쭙습니다.
생각의 흐름을 나름 정제해서 질의했다고 생각하긴 하나, 명확히 전달드렸는지에 대한 의문이 남습니다. 추가 질문 주신다면 성실히 답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글일상어 간과 습관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23.10.25
- 다음글독해 방법에 대한 질문 23.09.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