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18추리 32번
페이지 정보
본문
뇌기능 영상촬영 기법 지문에 관한 질문입니다!
수업 중에 뇌기능 영상촬영 기법이라는 것에서 각하에 해당한다고 하셨는데,
제가 이해한 방향이 맞는지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ㄴ 대뇌피질로 들어오는 입력의 유형은 근본적으로 똑같다. (->이때, 선생님께서 incoming 들어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셨고) ... 그러나, 그런 상이한 감각이 관련 기관에서 활동전위로 전환되고 나면, 각 기관이 뇌로 전달한 신호는 모두 똑같은 종류의 활동전위 패턴에 불과해진다.
<보기>
ㄴ. 뇌기능 영상촬영 기법들을 이용하여 특정 과제가 수행될 때 평소보다 더 활성화되는 부위를 검출함으로써 얼굴인식 영역, 수학 영역과 같은 특화된 영역들을 확인하였다는 사실은 ㄴ을 약화한다. <<각하>>
이때, 제가 각하인 이유를 생각하자면
제시문의 내용은
1)대뇌피질에 입력 들어옴 incoming >2)관련기관에서 활동전위로 전환>3)뇌의 자극부위 검출 또는 확인 outgoing, output이라고 볼 때
제시문의 밑줄인 ㄴ 대뇌피질로 들어오는 입력의 유형은 근본적으로 똑같다. 은 1)에 해당하는 내용이고
<보기의 ㄴ>은 뇌기능 영상촬영을 한다는 것은 3)에 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묻는 단계가 달라 각하라고 하신거라고 이해했는데, 제가 생각한 게 맞나요?
- 이전글2010년도 추리논증 20 23.09.23
- 다음글언어이해 표기 방법에 대한 질의_20이해 10~12 23.09.20
댓글목록
사례형문제님의 댓글
사례형문제 작성일
대뇌피질로 '들어오는' 입력의 유형이 똑같다 라는 문장을 강화 /약화 할 수 있으려면
1) 제시되는 사실이 해당 문제와의 관계의 '유무' 차원의 생각에서 관계가 존재해야 하고
2) 제시되는 사실의 관계의 방향/또는 정오가 맞아야 합니다
그런데 1) 대뇌피질로 들어오는 입력이 똑같은지 / 똑같은지 아닌지 와 관계의 유무를 보려하였으나
'뇌기능 영상촬영 기법들을 이용하여 특정 과제가 수행될 때 평소보다 더 활성화되는 부위를 검출함으로써 얼굴인식 영역, 수학 영역과 같은 특화된 영역들을 확인하였다'
라는 사실 자체는 '이미' 대뇌에 들어오고 난 사실을 가지고 분석하기 때문에 들어오기 전 신호의 유형이 같은지/같지 않은지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만약 이 가설을 강화시키는지 약화시키는지 보려면
대뇌로 들어오기 전 입력의 유형의 복수 정보들을 제시해서 분석해야 할 것입니다.
마치 관련이 없는 정보를 관계가 있는 것처럼 제시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선택지의 구성방식은 빈출되는 방식입니다.
관련하여 강한독성/약한독성의 선택지 ㄷ과도 같습니다. 같이 연결하여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