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18추리 19 재 질문
페이지 정보
본문
문제풀이 관련 질문 드립니다.
ㄱ.이 표본은 전국의 모든 기독교인들이 뽑힐 확률을 동일하게 하였으므로 대표성이 높다. (x)
-> 기독교인(Single)이 뽑힐 확률 동일하게 하지 않았고, 대신 초대형교회부터 소형교회까지 전국의 모든 교회(Multiple)를 포함하는 명단에서 일정 수의 교회를 무작위로 뽑음
ㄴ.뽑을 교회의 수를 늘리고 각 교회에서 뽑을 신도의 수를 줄이는 것보다, 뽑을 교회의 수를 줄이고 각 교회에서 뽑을 신도의 수를 늘리는 것이 표본의 대표성을 더 높인다.(?)
-> 사례를 곧이곧대로 활용
초대형교회A1,A2였는데 초대형교회A1&소형교회B1 뽑는 것보다 초대형교회 A1,A2 이 표본의 대표성을 높인다
A1,A2>>A1,B1[ㄴ선지]
제시문) 대표성이 있는 표본 '표본의 총체적 특성이 모집단인 전체 기독교인(Single)의 총체적 특성에 거의 근접해야하며, 이러한 표본을 대표성 있는 표본이라고 한다.'
'여기서 고려할 점은 구성원들이 동질적일수록 그 집단(Multiple)으로부터 뽑은 표본은 그 집단을 더 잘 대표할 것이며, 교회처럼 자연스럽게 형성된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전체 모집단에 속한 사람들과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더 동질적이라는 사실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 부분까지만 풀이가 가능하고 이 이후부터 ㄴ선지가 왜 틀렸는지 알 수 없어서 질문남깁니다!
'
- 이전글2019 언어이해 13번 문제 관련 질문드립니다. 23.10.24
- 다음글5회차 리뷰_19추리16 LINK 23.10.23
댓글목록
까미누나님의 댓글
까미누나 작성일
안녕하세요! 저도 이 문제에서 똑같이 어려움을 갖고 나름대로 해결한 방식을 공유하고자 댓글 남깁니다.
ㄴ선택지를 말씀하신대로 실행을 해보면
뽑을 교회수를 늘리고 교회에서 뽑을 신도의 수를 줄이는 것: A1, A2 -> A1, B1
후자로 뽑을 교회수를 줄이고 각 교회에서 뽑을 신도의 수를 늘리는 것: A1, B1 ->A1, A2
이렇게 두 가지 경우로 실행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제시문을 보니 1. 대표성있는 표본의 정의가 표본의 총체적인 특성이 모집단인 전체 기독교인의
총체적 특성에 근접해야 한다는 것을 줍고 마지막 줄에 2. 교회는 전체 모집단에 속한 사람들과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더 동질적인 집단이며
3. 바로 위에 집단의 구성원이 동질적일수록 집단으로부터 뽑은 표본은 집단을 더 잘 대표한다는 내용을 주웠습니다.
그래서 이 제시문은 결국 교인의 표본과 교회의 표본이 다르다는 내용을 말하고 있지만
ㄴ이 물어보는 상황에서 어떤 게 대표성을 높일지 고민을 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위에 세 문장이 다르게 느껴졌는데 이유는
대표성 있는 표본을 만들기 위해선
1. 전체 기독교인의 총체적 특성이 근접해야 하는 점,
2.교회는 동질적인 집단인 점,
3. 집단 구성원들이 동질적일수록 그 집단으로부터 뽑은 표본은 그 집단을 더 잘 대표할 것이라는 점을 근거로
결국 한 교회에서 다수를 뽑는 것보다 교회마다 각 교회를 대표하는 표본을 뽑는 것이
전체 기독교인의 총제적 특성이 반영된 대표성 있는 표본을 뽑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니까 한 교회에서 두 명 뽑으면 교회는 동질적인 집단이여서 둘이 동질적일텐데
각 각 뽑으면 다른 특성이 반영된 교인을 뽑는 방법이 대표성을 높인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수박님의 댓글의 댓글
수박 작성일감사합니다 덕분에 이해되었습니다
녕이님의 댓글
녕이 작성일
의견 공유하고자 댓글 남깁니다!
작성자 분께서 적어주신 내용이면 ㄴ 소거에 충분하다고 사료됩니다!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저도 조금 부족한 부분을 느껴서 제 나름대로 추가적인 해석본을 만들어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 윗 댓글께서 적어주신 것을 인용하여 가상의 사례로 풀어 말씀드리자면,
A1, A2를 3명씩 뽑는 것보단, A1, A2, B1을 2명씩 뽑는 것이 더 총체적 특성에 근접할 것입니다.
{(A1 x 3) + (A2 x 3)} //// {(A1 x 2) + (A2 x 2) + (B1 x 2)}
의 비교를 했을 때,
A1, A2, B1, B2 전체의 총체적 특성에 더 근접하는 것은 후자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제시문의 전자가 표본의 총체적 특성에 더 근접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선생님께서 설명하신 방법이랑 조금 다르긴 하지만, 결국 같은 것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선생님의 방법으로 다시 얘기해보자면,
'초대형교회 끼리만 모여서 결론을 내는 것보다, 초대형교회와 소형교회 여러개가 만들어내는 결과값이 더 총체적일 것이다.' 가 될 것 같습니다.
수업 때 사용한 그림을 떠올려보시면 더 쉽게 이해되실 것이라 사료됩니다.
다른 의견 있으시거나, 더 나누고 싶으신 의견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답글 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수박님의 댓글의 댓글
수박 작성일
감사합니다
'총체적 특성'에 대한 실행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예시 들어주신 덕분에 잘 이해 되었습니다
수박님의 댓글
수박 작성일
-CORRECT
표현의 실행)
전체 기독교인의 총체적 특성에 근접해야 한다.
A1, A2 <-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전체 모집단에 속한 사람들과 비교할 때 더 동질적이다.’
A1도 A2도 q라는 성질을 가짐
A1, B1 일 때, q라는 성질과 B집단의 p라는 성질을 모두 포함
사실상 ‘전체 기독교인의 특성’ p, q, (x, y, z,,,)가 있다고 치면, A1, A2일 때보다(q만) A1, B1일 때(p, q) 전체 기독교인의 특성을 2개나 가지고 있으므로 ‘총제적 특성’에 더 ‘근접’한 차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 A(글) → (B) → C(선지)
B의 단계가 표현의 실행인데 그 부분이 잘 안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