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2018학년도 추리 논증 34번],[2019학년도 추리 논증 18번] 질문
페이지 정보
본문
질문: 발현량이 증가된 P53 단백질의 물질대사 억제기능이 암발생을 억제한다는 가설에서 발현량이 증가된 P53 단백질은 고정시키고, 물질대사 억제 기능은 변수로 다른 기능이 들어오면 약화되는 문제인데 어떤 걸 고정시켜서 이게 아니면 관련이 없는 것[무관]으로 바라보고, 어떤 걸 바뀌는 변수로 보고 이게 아니면 약화되는 부분이라고 파악해야 하나요?
이와 비슷한 문제로 내 행동이 알려진다고 믿을 때도 고정시키는 부분이었고, 내 행동이 알려진다고 믿지 않을 때라고 하면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본 것이 있겠습니다.
- 이전글[2020 추리논증 11번 질의] 23.11.23
- 다음글[2019학년도 추리 논증 2번] 질문 23.11.22
댓글목록
사례형문제님의 댓글
사례형문제 작성일
아직 문제에서 시키면 시킨 것만 실행한다에 익숙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1) 발현량이 증가된 P53 단백질은 고정시키고, -> 이 부분
2) 물질대사 억제 기능은 변수로 다른 기능이 들어오면 약화되는 문제 -> 이 부분
1)과 2)는 엄연히 다른 것이었습니다.
1)은 맞는말이지만
2)는 틀린말입니다. 다른 기능이 들어오면 약화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신 이유가 무엇일까요??
문제가 대응하라고 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현상입니다.
문제가 원하는 것은
1)도 고정이었지만
2)도 고정이었습니다
추가적 논의를 이해 하나 확정하기 위하여 재질의 드리겠습니다
Q. 다른 기능이 들어오면 약화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신 이유가 무엇일까요??
H2025LEET님의 댓글
H2025LEET 작성일
@사례형문제
Q. 다른 기능이 들어오면 약화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신 이유가 무엇일까요??
발현량이 증가한 P53단백질의 세포자살유도 기능 또는 세포분열 정지 기능이 암발생을 억제한다는 경쟁 가설이 있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슷하게 발현량이 감소된 P53단백질의 물질대사 억제 기능이 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경쟁 가설도 있겠다고 판단했습니다.)
초파리 문제도 비슷한 문제인지 모르겠으나 풀이가 잘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문제에서 발현량이 증가한 P53 단백질의 세포자살 유도 기능만 남고 나머지 두 기능은 사라졌을 때 암발생을 억제한다는 실험결과가 나오면 가설을 약화되겠다라고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