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2018학년도 추리 논증 34번],[2019학년도 추리 논증 18번] 질문
페이지 정보
본문
질문: 발현량이 증가된 P53 단백질의 물질대사 억제기능이 암발생을 억제한다는 가설에서 발현량이 증가된 P53 단백질은 고정시키고, 물질대사 억제 기능은 변수로 다른 기능이 들어오면 약화되는 문제인데 어떤 걸 고정시켜서 이게 아니면 관련이 없는 것[무관]으로 바라보고, 어떤 걸 바뀌는 변수로 보고 이게 아니면 약화되는 부분이라고 파악해야 하나요?
이와 비슷한 문제로 내 행동이 알려진다고 믿을 때도 고정시키는 부분이었고, 내 행동이 알려진다고 믿지 않을 때라고 하면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본 것이 있겠습니다.
- 이전글[2019 추리 논증 16번] 질문 23.11.15
- 다음글2020 언언이해 21번 문제 질문드립니다. 23.11.14
댓글목록
까미누나님의 댓글
까미누나 작성일
안녕하세요! 2018 추리논증 34번 문제에 대한 의견 공유합니다.
먼저 제시문 ㄱ에서는 '발현량이 증가된 p53 단백질의 물질대사 억제 기능이 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실험 결과>에서 정상생쥐, 생쥐실험군 a,b의 p53 단백질의 발현량은 증가한 반면 생쥐 실험군 c의 p53 단백질 발현량은 변화가 없다고 제시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실험군을 대상으로 가설에 실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선 발현량이 증가된 생쥐 실험군을 대상으로 물질대사 억제 기능을 판단하여야 하는데 생쥐 실험은 c는 애초에 발현량의 변화가 없으므로
ㄷ선택지에서 실험군 c의 경우 가설을 강화할수도, 약화할수도 없어 관련없는 선택지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나머지 ㄱ과 ㄴ선택지는 발현량이 증가한 p53단백질 실험군에 해당하기 때문에 물질 대사 기능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가설 강화, 약화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사례형문제님의 댓글
사례형문제 작성일까미누나님 훌륭합니다!
H2025LEET님의 댓글의 댓글
H2025LEET 작성일공유해주신 의견에도 의문점 해결이 잘 되지 않아서요..! 의견 더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