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추리 38
페이지 정보
본문
2020추38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에서 기존과 배경지식 차원상 정도의 차이
표를 이용한 차원의 구획 |
차원을 제대로 구획하지 않아서, 보기상 변주에 대한 혼동이 컷던 지문 |
ㄱ,ㄴ,ㄷ 모두가 맞다는 판단까지 소요시간이 너무 오래걸림. |
특히 ㄷ 보기가 가장 오래걸림. 차원 간 관계를 구상하여 판단했어야 했음. |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지문 |
고동도의 중린산 이온 - > a의b 발현량이 높은 p53생각이 남. 그래서 고농도에 대하여 계속 생각. HCO3->고농도의 결과물 a,b 존재 - 농도변화 - 기능도 변화 a와b 둘 중 하나임. 그래서 어느 것이 농도 변화 - 기능 변화를 야기하는지 궁금. 표 판단 낮을 때 a -> 고농도 - 저중- 저 높을 때 a - > 저농도 - 다시 고? b 낮을 때 - > 고/저... 에 집중함.. 높을 때 - > 고/저에 집중... a,b 낮을 때 - 고,,..? 높을 때 - 저.....?
완전히 잘못 판단...
|
보기 |
ㄱ. CFTR의 기능이 CI 수송에서 HCO3 수송으로 전환되는데 a단백질이 있어야 한다. -> 처음에는 아니라고 봄... a,b를 보고 둘 다 아님? 이라고 생각함. |
ㄴ. 세포 내 CI농도는 A단백질이 CFTR의 기능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변수이다. -> 맞다고 봄... 좀 의심.. |
ㄷ. 세포 내 CI농도가 낮은 상황에서 A단백질이 존재할 때, B단백질은 CFTR의 HCO3 수송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 해당 선지에서 3분이상을 쓴 것 같음... -> 구획이 제대로 안됨,... 유지라는 차원을 생각한 적이 없어서 그런 것 같음, |
-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지문
전제 |
표 판단 낮을 때 a -> 고농도 - 저중- 저 높을 때 a - > 저농도 - 다시 고? - > 높을 때는 저농도가 유지되었다고 생각했어야 함. 기능 자체의 변화가 없었으니..... -> b 낮을 때 - > 농도 - 유지? 높을 때 - > 유지? a,b 낮을 때 - 농도 변화 - 기능 변화 높을 때 - 유지..?
|
|
ㄱ |
CFTR의 기능이 CI 수송에서 HCO3 수송으로 전환되는데 a단백질이 있어야 한다. -> 모든 선지를 각하로 판단하길래 다시 되돌아가서 확인 -> 주어에 대한 판단 기능 변화를 하기 위해서는 a단백질 필요 내용적으로 판단. -> 맞다고 봄.
|
|
ㄴ |
세포 내 CI농도는 A단백질이 CFTR의 기능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변수이다. -> 되돌아가서 판단했더니. 주어에 집중 세포 내 농도 - 기능 변화 -> a단백질 필요. |
|
ㄷ |
세포 내 CI농도가 낮은 상황에서 A단백질이 존재할 때, B단백질은 CFTR의 HCO3 수송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 b단백질은 유지 기능 a단백질은 변화 -> 변화한 것을 유지하는 것 a,b둘 다 있을 대 낮은 농도 조건 파악 -> 그대로 대응하면 풀이할 수 있었던 선지... |
|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