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추리 35번
페이지 정보
본문
2020추35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에서 기존과 배경지식 차원상 정도의 차이
차원 간 관계가 중요했던 지문 |
흘려읽은 부분이 있었지만, 재독해를 이용하여 수정보완함. |
흘려읽더라도 밑줄을 통한 보완이 가능하다는 것을 배운 지문 |
|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지문 |
사전- 가설 -> 데이터 :1 사후 데이터 -> 가설 : 2 기본 차원으로 생각함. 가설 - 통과여부 - 강화.약화 성공/실패 - 높/낮 2의 경우 통과 -> 고정 사례 - 갑 - 가설 - 예측 1의 경우로 봄 - 을 - 데이터 - 가설 - 예측 2의 경우로 봄 b가설과 - c증거에 대하여 관계를 설정해 줌. |
보기 |
|
|
|
-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지문
전제 |
사전/사후 차원을 먼저 번호로 지정해놨으면, 더욱 빠르게 정보처리가 빨랐을 것 같음. 가설 - 성 - 통 - 높 - 실 - ~통 - 낮 - 예측개념을 흘려읽음. 10-20초 정도 줄일 수 있었음. 예측 : 선 : 가설/후 : 데이터 갑의 주장에 대한 근거인 이론이 어떠한 이론인지 흘려읽음. 대신 밑줄을 치긴해서 재독해 할 때 유용하게 활용함. 2의 경우와는 +알파 |
어떤 이론인지 흘려읽었던 이유는 1,2 인지 여부가 더 중요했던 것 같음. 그러면 a의b와 같은 것들은 밑줄을 활용하여야 하는 점을 배움. |
1 |
두 가설이 같은 증거를 가지고 있다면, 다른 예측을 내놓을 수 없다. -> 처음에는 모름으로 체크했다가 모든 선지 판단 후 가설이 같은 증거 증거-가설 가설-증거 -> 예측은 다를 수 있음 함부로 선언한 것이라고 판단 |
|
2 |
<이론>에 따르면, 100일 째 비가 오지 않았다는 증거는 a가설의 입증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가설 - 예측~통과 - 낮 -> 영향이 있음. |
|
3 |
<이론>에 따르면 100일 째 비가 오징 않더라도 b가설의 입증정도는 올라가지 않는다. -> 비가 오지 않는다고 예측함 -> b가설의 을이 올라가지... 입증정도가.. |
|
4 |
<이론>에 따르면 99일 째 시점에서 볼 때 b가설은 입증되기는 하였으나, 그 정도는 a가설보다 낮다. -> 처음에 몰랐지만, -> 재독해-> 이론 마지막 문장에 대응함. 낮을 수가 없음 b는 항상 통과 a는 통과 할수도 안할 수도 있음 |
|
5 |
<이론>에 따르면, b가설이 아직 구성되지 않은 어떤 시점에서 a가설은 이미 어느 정도 입증되었다. -> 대응 -> ~성공 사전차원이 먼저 입증이 성립됨. |
|
- 이전글2020추리36 24.01.04
- 다음글2020추리 34번 24.01.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