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차 Review 과제
페이지 정보
본문
2주차 리뷰노트
I. 수업내용
추리 18년도
II. 수업목표 :
- 각하와 기각
- 관계 없는 것 관계 있는 것처럼 만들어놓은 선지 조심!
: 18년 34번 (ㄴ), 18년 32번 ,18년 33번
III. 목차
<문제 : 추리 2018년도 34번>
유사 문제 : 2019년 39법
● 수식(함수) 한번 정리할 때 잘하기차원을 구획하지 못했다. ● 관련 없는 선지 관련(관계) 있게 물어보는 것조심 |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의 변하지 않는 정신, 내가 깨달은 것, 선생님이 말해준 포인트, 무엇이 중요한지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ㄷ선지가 관련없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단순히 ‘물질대사 억제기능’에만 포인트 두었었는데 관련없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빠르게 제거 가능
|
<문제 : 추리 2018년도 32번>
● 주장 A&B를 강화시키는 방법 : 1. A 2. B 3. A&B 패러프레이징은 어디까지 가능할까? |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의 변하지 않는 정신, 내가 깨달은 것, 선생님이 말해준 포인트, 무엇이 중요한지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ㄱ선지 : 어떻게 풀지? 명확한 근거 없이 감으로 풀었다. -> 방법 : A이다 말하면 ~A인 것을 생각하자 균일(같다) & ~균일(같지 않다) 균일하다 = 같다 =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 물리적 특성이 같다
ㄴ선지 : 관련 없는 내용이다 -> 시간쓰지 마라!
|
<문제 : 추리 2018년도 33번>
● 관계 없는 것 관계 있는 것처럼 만들어놓은 선지! |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의 변하지 않는 정신, 내가 깨달은 것, 선생님이 말해준 포인트, 무엇이 중요한지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ㄷ선지 : 어떻게 풀지? 명확한 근거 없이 감으로 풀었다. -> 방법 : <가설 1>을 약화하려면 “언어적 행동”에서 차이가 있어야 한다. 이는 언어적 행동의 “횟수”가 아니다! |
<문제 : 추리 2018년도 22번>
● 경제 지문 : 내가 아는 배경지식아니라, 제시문의 ‘정의’ 파악하기! |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의 변하지 않는 정신, 내가 깨달은 것, 선생님이 말해준 포인트, 무엇이 중요한지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ㄱ선지 : 내가 아는 평소의 ‘일자리 증가하면서 실업률 상승 불가’ 가능하지! 착각 노노 -> 제시문의 정의 돌아가자 “일자리가 생기면 즉시 일하는 사람!” -> 분자가 줄어도 분모가 더 줄어들면, 숫자는 상승 가능
● ㄴ선지 : 관게 없는, 알수 없는 것을 연결해 놓았다!
|
<문제 : 추리 2018년도 32번>
● “선언”/“단언”하는 선지는 항상 주의 |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의 변하지 않는 정신, 내가 깨달은 것, 선생님이 말해준 포인트, 무엇이 중요한지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ㄱ선지 : ~할 수 없다 VS ㄴ선지 : 다를 수 있다 -> ㄱ선지 선언하며, 단정하는 것은 틀림! -> ~할 수 있다 (가능성) 유하게 보기! |
<문제 : 추리 2018년도 20번>
● “대응포인트” 찾기! |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의 변하지 않는 정신, 내가 깨달은 것, 선생님이 말해준 포인트, 무엇이 중요한지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선지에서 어떤 기준점으로 지지하는 사례를 골라야할까? -> 고차원 & 저차원 |
<문제 : 추리 2018년도 21번>
● “대응포인트” 찾기! : 제시문에서 A인 것 말하면 ~A 인것도 생각하기
|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의 변하지 않는 정신, 내가 깨달은 것, 선생님이 말해준 포인트, 무엇이 중요한지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이미 시장에 알려진 정보 <---> 새로운 정보 -> “A인 것” 제시문에 있었으면 ~A인것도 생각하면서 대응하자! 상대적으로 긴시간<-------> 조만간/당분간 |
<문제 : 추리 2018년도 15번>
- 유사 문제 : ㄱ-> “교수 논리 추론 방식”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의 변하지 않는 정신, 내가 깨달은 것, 선생님이 말해준 포인트, 무엇이 중요한지
● “추론 방법” 이 옳은지 틀린지 물어보는 선지 존재 ‘선언’하는 선지 조심(선언이랑 단정이랑 같은건가????)
|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 ~한 상황에서 ~를 추론할 수 있다 -> 제시문의 주인공이 어떻게 추론하고 있고 추론할 수 있는지 물어보는 선지! ㄷ선지 ‘거짓으로 판단할 것이다’ 단정할 수있나? -> 모두 거짓으로 판단하지 않을 것! 둘중 하나 거짓으로 판단하는 반례 존재
3. 질문 “각하와 기각”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선언’해서 틀린 선지라는 의미를, ‘단언/단정’해서 틀린 선지로 바꿔서 생각해도 될까요? 또한 선언 했을 때 반례가 있을거 같은데? 생각해도 되는건가요? |
- 이전글2주차 개별문제 Review(2) 24.01.20
- 다음글2주차 개별 문제 Review(1) 24.01.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