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추리논증 19번]
페이지 정보
본문
총체적 특성은 평균적 특성이 아니다. ‘총체’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있는 것들을 모두 하나로 합친 전부 또는 전체] 차원의 구획을 한번 적용할 수 있는데, 1) 모든 기독교인들의 뽑힐 확률을 동일하게 한 차원, 2) 불가능하기에 제시된 대안적 차원 결국 대안적 차원을 선택하였고, 이는 곧 교회를 무작위로 뽑는 것이다. 전체 기독교인을 무작위로 뽑는 것이 아니다. 논의의 평면적인 단어로 ‘구성원들이 동질적일수록’이 제시되었다. |
||||||
|
||||||
+α
선지 ㄴ의 경우, 시키는 대로 실행했으면 쉽게 소거할 수 있는 문제였다. 이렇듯 흐릿한 내용이 다가왔을 때, 직접 쓰는 것이 더 명확해지는 방법이다. 선지 ㄴ의 사례를 직접 적자면, 초대형 교회 A1, A2가 있고, 소형 교회 B1, B2가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초대형 교회 A1, A2에서 3명씩 뽑는 것보단, 초대형 교회 A1, A2, 소형 교회 B1을 2명씩 뽑는 것이 더 총체적 특성에 근접할 것이다. {(A1 × 3) + (A2 × 3)} //// {(A1 × 2) + (A2 × 2) + (B1 × 2)} 의 비교를 했을 때, A1, A2, B1, B2 전체의 총체적 특성에 더 근접하는 것은 후자일 것이기 때문이다. |
첨부파일
- 이전글[2018 추리논증 32, 22] 23.11.16
- 다음글[2018 추리논증 21번] 23.11.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