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29일 leetbible 1-23페이지 리뷰] > 수강생 Review Section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수강생 Review Section

[2023년 11월 29일 leetbible 1-23페이지 리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뇌호흡
댓글 2건 조회 41,416회 작성일 23-11-29 11:14

본문

제시문에 문제 해결을 위한 객관적인 표지가 있는데, 보통 수험생은 제시문을 파악할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본인의 주관이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본인이 중요하다고 여기지 않아 간과하게 표지(예를 들어 일상어 )에서 문제의 실마리를 주는 단서가 있고, 수험생은 다시 때에도 본인이 중요한 부분을 다시 중점적으로 보기 때문에 단서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형식적인)표지들을 간과하지 않도록 밑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한가지 목적을 추가하자면 재독해시 빨리 보기 위한 표지로써도 밑줄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불필요한 에너지와 시간을 소요하는 것을 막아 효율적으로 문제에 접근할 있을 같다. 다만, 조사 등에 밑줄치는 습관은 체화할 있도록 꾸준한 반복이 필요해 보인다.

나아가, 차원을 구획하며 독해하는 역시 문제를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글의 구조를 정리함으로써 내용의 이해롤 듭고 재독해 할때 에너지를 투입해야 부분이 보다 명확해진다.

 

(11 오타 개념의 요소를 분설하고, 차원을 구획… -> 분석)

댓글목록

profile_image

사례형문제님의 댓글

사례형문제 작성일

고생하셨습니다

profile_image

사례형문제님의 댓글

사례형문제 작성일

관련하여 과거 질의응답사례를 공유하겠습니다.


1) 이전에 선생님께서는 꼭 모든 제시문이 분석이 되어 있는 상태로 문제를 푸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못하더라도 문제는 맞힐 수 있다는 말씀을 통해 생각해보면,
2) 시키지 않은 것을 하면 안된다. 이전에 추리논증에서 표를 그리던 학생을 지적하시면서, 시키지도 않은 것을 왜 하냐는 말씀을 하셨었습니다.
3) 구조는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파악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말씀을 통해서, 저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행동요령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보통 읽을 때 저기서 멈추고 확실하게 나누고 하나하나씩 정리해가면서 읽고 있었는데, 선생님께서는 어떻게 읽어가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도 언어라는 것이 머릿속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라 어떤 때 어떻게 해야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참 어려운 것은 알지만, 일단 저 3가지 말씀이 제가 하고 있던 것과 상충되기도 하고, 글을 읽다가 시간을 조금 더 투자하여 머릿속으로 정보를 한번 다지고 가야 할지 말아야할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 문제를 풀어나가면서, 다시 돌아가서 해당 부분을 읽습니다.
 -> 이 때 차이가 나는게,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거기서 당황해하지 않고 원래 그런거다 생각하고 필요한 것을 찾아내려고, 대응시키려고 노력합니다.
 -> 문제를 통해 추가정보를 얻습니다
 -> 문제를 풀면서 내가 파악하지 못한 것들에 대해 어렴풋한 정보를 얻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로캠 커뮤니티 이용규칙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405
어제
1,269
최대
4,441
전체
796,008
Copyright © lawyers.camp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어반컬쳐랩주식회사 / 사업자등록번호: 419-87-02727 / 대표이사: 정태환 / 주소: 경기 용인시 동백중앙로 191 8층 A8924호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2023-용인기흥-2053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정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