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28일 leetbible 1-20페이지 리뷰] > 수강생 Review Section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수강생 Review Section

[2023년 11월 28일 leetbible 1-20페이지 리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H2025LEET
댓글 3건 조회 34,538회 작성일 23-11-29 01:44

본문

[20231128leetbible 1-20페이지 리뷰]

*위표시로 수정이 필요해 보이는 부분을 체크해 두었는데 확인 한번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질문: 17p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라는 경우는 상위 논의와 하위 논의를 구획짓는차원이라는 형식적 장치를 상기시키기 위한 장치였습니다. 주로 형식적으로, 상위 차원과 하위 차원을 구획하는 표지들은 당연하게도 A B라는 형식을 갖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

Q: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라는 경우 상위 논의와 하위 논의로 어떻게 차원이 구획지어 지는지 위 문제의 문장을 사용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한하여라는 표현이 ab로 파악되는 건가요?

-리뷰(개인적으로 더 중요하거나 좀 더 공부가 필요한 문장들을 발췌했습니다.)

2p

암기하는 성향으로 정보를 자의적으로 재조립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LEET 시험이 정보 자체를 암기했냐를 요구하는 시험이 아니라, 다시 돌아가서 정보를 있는 그대로 대응하고 문장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평가 대상이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 최우선 과제입니다.

따라서 수험생은 해당 지문의 내용을 모르는 것이 당연하고, 한 번에 머리에 제대로 이해되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 시험장에서는 문제를 보고 해당 언급한 사항에 대하여지문의 해당 부분에 돌아간다. 정보의 완전한 습득과 이해가 아닌, 제한된 시간에 정보를 기계적으로, 형식적으로 처리해 나가는 자세와 능력이대응력이라 하겠습니다.

*6p 둘째줄 맞춤법 Leet 수험생으로

*7p 마지막 문장 교정: ‘선택할 때를 줄을 치면추가

AB로서 서식지와 배우자를 선택할 때의 본능적으로 동일한 규칙이라는 한정사를 보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P8

여러분들이 밑줄을 치거나, 대응 포인트로 잡아야 할 대상은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아닌, 객관적이고 형식적인 표지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방법, 원인, 결과 이러한 부분입니다.

P9

3.35% 초과로 이자율이 존재하던 영역과 35% 이하로 이자율을 낮췄던 영역

5.가부 결의를 확정하는 차원과 가결 여부가 결정되는 차원

6. 문서의 효용을 해하는 행위와 물건의 효용을 해하는 행위 차원

7. 병독균 차원 / 유익균 차원

일상어를 통하여 구획을 하는 방식들이 특히 단어 구성 방식으로 A B가 활용되는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이것은 뒤에 연결되어질 차원의 구획과도 사고의 방향이 같습니다. 다만, 위 아래로 생각하는 것뿐입니다.

P10

Instinctively same rule about A(서식지) and B(배우자)

*13p 끝에서 6번째 줄 수정: 정보의 연산 차원으로의 변화

*15p 끝에서 9번째 줄 수정 필요: 대응의 핵심은 기억이 아닌, 다시 돌아와 위치에 표현을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라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이럴 때, 주로 형식적 변수들, 주어, 목적어, 방법, 인과, 예시 등 과 같은 표지를 이용하는 것도 중요하며, 어절을 분설하여 덩어리지어 표현들이 한 눈에 볼 수 있는 장치를 만드는 것도 유효할 수 있습니다(이를 언덕을 만든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17p

‘모두’라는 단어를 보고 문제 속에서 제시되는 자유와 권리에 관한 논의의 경우, 일부라는 예외가 없겠다는 생각을 했다의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전부와 일부라는 구획을 설정하고, ‘모두라는 표현을 본다면 예외가 없겠네, 하나의 통일된 논의의 영역만 존재하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시게 되실 겁니다.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라는 경우는 상위 논의와 하위 논의를 구획짓는차원이라는 형식적 장치를 상기시키기 위한 장치였습니다. 주로 형식적으로, 상위 차원과 하위 차원을 구획하는 표지들은 당연하게도 A B라는 형식을 갖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18p

핵심은 다시 돌아가, 주요 형식적 변수들을 다시 주워 활용하는 것입니다

20p

사실 흔히 일반적인 문제풀이 방법에서는 밑줄이나, 박스 등과 같은 도식화된 표현을행정이라는 개념 자체에 표시하곤 합니다. 그렇지만 오히려 시험에서 문제화되는 부분은(특히 오답률이 높은 문제들의 특징은) 개념 그 자체에 대한 이해가 출제되는 것이 아니라, A B라는 표현을 통하여 개념 간 관계 지음, 개념 간 구획이 이루어지고 있는 형식 그 자체가 핵심입니다.

댓글목록

profile_image

H2025LEET님의 댓글

H2025LEET 작성일

책 뒷부분을 읽다가 질문이 어느정도 해결이 되었습니다,

‘한하여’가 언덕을 형성해 팔요한 경우와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차원을 구획한다는 말인 것 같고, 한하여는 a의 b 형식은 아닌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profile_image

사례형문제님의 댓글의 댓글

사례형문제 작성일

맞습니다.

어떻게 보면 언덕을 만들어

00000 한 경우에 한하여 / ~~~한다 등

빠르게 절을 구획하기 위한 장치를 만드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H2025LEET님의 댓글의 댓글

H2025LEET 작성일

넵!

확인 감사합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로캠 커뮤니티 이용규칙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2,846
어제
746
최대
4,441
전체
704,240
Copyright © lawyers.camp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어반컬쳐랩주식회사 / 사업자등록번호: 419-87-02727 / 대표이사: 정태환 / 주소: 경기 용인시 동백중앙로 191 8층 A8924호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2023-용인기흥-2053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정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