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학년도 언어 이해 18~20]
페이지 정보
본문
[2017학년도 언어 이해 18~20] 성운 지문
*_ 위 표시로 볼드 처리 되어있는 선지는 판단이 바로 되지 않았던 선지들이므로, 좋은 의견 있으시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18번.
1번: 논쟁이 있고 마지막 문단에 성운은 독립된 차원이라고 말해주고 있고, 2문단 독립차원에 성운이 우주 전체에 고루 퍼져있다고 말하고 있다. 정답.
2번: 안드로메다 성운 마지막 문단에 나옴. 마지막 문단에 성운은 독립된 은하이라고 되어있음. 2문단에 이항관계로 초기모습/또 다른 은하인지 논쟁되고 있다고 했다. 이항관계 잘 설정하고 주어 안드로메다 성운은 독립된 은하차원이고, 서술어 초기모습이다는 초기모습 차원이기에 차원이 달라 오답.
3번: 안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범주로 빼고 이항관계로 나눈 두 차원의 공통점으로 기억이 나는 것.
*4번: 첫번째 문단 밤하늘에 보이는 은하수. 은하는 원반모양. 인관관계 잘 모르겠으니 넘어감.
5번: 3번째 문단 많은 성운들도 타원 모양을 띠고 있으므로 우리 은하처럼 독립적인 은하일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두번째 독립 차원에서 유비관계 x로 기억.
19번.
*ㄴ: 마지막 문단의 갑자기 튀어나는 관계성 주목. 겉보기 밝기와 비교하는데 거리가 필요. 정답.
ㄱ: 마지막 문단에 속해있는 ㄱ동글 알아내기 위해 1문단의 원반형태인게 꼭 필요했나? 문제에서 사실만을 고르라고 한 것으로 보아 좀 강하게 묻는 것도 고려했을 때 오답.
ㄷ: 대칭적인 것은 쌍성차원이므로 다른 차원. 오답.
20번
A 대칭. B 비대칭
1번 a는 대칭이므로 쌍성. 오답.
2번 b는 세페이드. 두 별은 쌍성 a차원. 오답.
후사고: 세페이드는 하나의 별이 팽창과 수축하는 것. 쌍성은 두개의 별 차원/ 세페이드는 하나의 별 차원.
3번. 처음에 일단 넘어가고. 선지 다 보고 다시 넘어와서, 실행차원으로, 시기 차원은 쌍성차원. 일단 이 점은 맞고, 시기 별로 생각해보면 제일 밝을 시기 100%는 둘다 안가릴 때, 2번째로 밝을 시기 a는 밝은 별이어두운 별 앞에 있을 때, 제일 어두울 때는 어두운 별이 밝은 별 앞에 있을 때이므로, 정답.
4번. 주기 측정해 거리 아는 것은 세페이드 차원. 오답.
*5번. 주기 알아야만 겉보기 알 수 있다가 아니라 겉보기 밝기와 주기의 관계성을 나타냈던 것이었음. 오답.
후사고:
1. 겉보기 밝기는 c를 몰라도 바로 관찰할 수 있다.
2. 고유 밝기 차원/겉보기 차원. 고유 밝기는 밝기 변화 주기로부터 알 수 있는 것 즉 지금 모르는 것/ 겉보기는 이미 아는 것. 그래서 알아낸 고유 밝기를 이미 알고 있는 겉보기와 비교한다고 함.
- 이전글[2023년 11월 28일 LEET BIBLE 1~44페이지 1강 리뷰] 23.11.29
- 다음글[2020 추리논증 11번] 23.11.28
댓글목록
사례형문제님의 댓글
사례형문제 작성일실제로 말씀해주신 4번 선지의 경우, 수험생 그 누구나 실제 시험에서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파악하기 어려울 것이라 봅니다. 즉, 바로 판단할 수 없었던 선택지라 봅니다.
H2025LEET님의 댓글의 댓글
H2025LEET 작성일확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