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언어 27-29번 지문
페이지 정보
본문
2019언30-32
1. 1문단에서는 저장, 더하고 부분을 이용하여 저장/추가 구획을 했던 것 같음. 그러니까 의식적인 논의의 평면적 단어를 사용하려고 했던 것 같다. 2. 저장/추가가 저장/부가로 변경되면서 조금씩 차원이 수정되가고 있다는 걸 느꼇음. 3. 속도의 기조를 높이면서 다음의 문제에서는 되돌아가는 연습을 할 수 있었던 지문이었음. 다만 아쉬운점이 있다. 후첨 4. 하나의 차원 구획으로 많은 걸 넣으려고 하지 말고, 엑기스들만을 남겨둔 것 같음 |
1 |
‘저장한 다음’, ‘더하거’ -> 부가회로 로 차원이 구획됨 -> 저장/부가로 수정됨 |
2 |
조합 구획에 대한 설명이라고 생각함. 이부분에서 건질 수 있었던 것은 조합/저장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것, 저장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것/조합은 내부에 입력된 정보를 사용한다? 정도를 본 것 같음. |
3 |
3문단은 진짜 그냥 속도의 기조를 올리고 저장회로 이야기로 생각함. -> 그림보고, 그리고 저장회로는 반대되는 정보를 도출한다. 외->내, 정->반 |
4 |
4문단에서는 조합회로라는 부분만 전제로 하고 속도의 기조를 올렸지만, 동일한 값일 때 1, 다른 값일 때 0 이 정도만 남긴 것 같음. |
5 |
5문단에서는 그냥 회로의 어떤 부분을 이야기하고 있는 거지라고만 생각하면서 읽음. -> 둘 다 이야기 하는 구나, 조합./저장 모두 다 나옴. |
6 |
새로운 정보가 나타나는 문단이었음. 조합/저장이 CPU라는 큰 구획 안에 들어가 있으며, 그와 분리되는 차원은 클록이라는 점을 파악하고 클록이란 상태 변경 속도인 점만 남겨두고 문제 풀이로 들어감. |
27 |
① cpu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그에 해당하는 논리 상태는 정해져 있다. -> 기억이 나지 않아 되돌아감. 첫번재 문단으로 돌아가서 저장회로와 조합회로가 있다는 점을 착안함. 타당으로 판단. ② 인버터는 입력되는 2진수 논리 값과 반대되는 값을 출력하는 논리 소자이다. -> 이거는 구체진술에서 도출한 엑기스를 기반으로 0->1/1->0값을 출력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타당하다고 봄. ③ 순차 논리 회로에서 저장 회로의 출력은 조합 회로의 출력상태와 동일하다. -> 많이 흐릿함. 되돌아감-> 저장회로 출력과 조합회로 출력은 같은 범주에 들어가 있으나, 마지막에서 2번째 문단을 단서로 판단함. 타당하지 않음. ④ cpu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에 의한 논리 상태 변경을 통해 작업을 수행한다. -> 이부분은 되돌아가도 찾지 못함. 그래서 선지의 형식적 구도를 기반으로 정오를 판단함. 지문을 읽을 때 쌓았던 차원 이항관계들을 이용하여 => cpu자체는 논리상태의 변경 구획은 저장회로임 -> 외부로부터 들어온 입력을 변경함. 타당하다고 봄. ⑤ 조합 회로는 2진수 입력에 내부에 구현된 논리 함수의 결과를 출력한다. -> 내부에 구현된: 저장회로 -> 내부의 정보를 조합회로가 출력 타당하다고 판단함. |
되돌아가도 보이지 않을 경우 선지의 형식적 구도를 통해서 기본 차원 등을 이용하여 선지판단을 하는 문제풀이 방식이 타당한지.. 확실한 것인지 모르겠음. |
28 |
① ㄱ은 조합 회로를 통해서, ㄴ은 인버터를 통해서 피드백 기능이 구현된다. -> ㄱ은 인버터를 통해서 왜: 저장회로 안에 있는게 인버터니까. ㄴ은 조합회로를 통해서 각각 피드백 기능이 구현된다. ② ㄱ과 ㄴ의 각 회로에서 피드백 기능을 위해 입력하는 정보의 개수는 같다. -> 문제풀이 당시에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없어서, 저장회로 구획과 조합회로 구획이 적혀 있는 문단으로 되돌아감. 대응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만, 한가지로 선언한 느낌을 받음 --> 함부로 선언함. ③ ㄱ과 ㄴ은 모두 외부에서 입력되는 논리 상태를 그대로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 ㄱ만이라고 보았음. 차원구획을 한 상태에서 저장회로는 저장이지만, 조합회로는 변경을 수행하는 기능임. 차원을 기반으로 실행함. ④ ㄱ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이며, ㄴ은 논리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이다. -> 정보를 저정하기 위한 구조 = 저장회로 논리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 = 조합회로 각각 대응 ⑤ ㄱ은 스위치s1이 연결될 때, ㄴ은 스위치 s2가 연결될 때 피드백기능이 동작한다. -> s1,s2모두 저장회로에 있음. 그런데 ㄱ과 ㄴ에 각각 존재한다는 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함. |
일단 문제를 보자마자 김수영/김춘수 구획의 문제가 떠오름 지문에서 피드백회로에 대하여 저장회로의 피드백/조합회로의 피드백으로 구획하였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문제풀이를 해봐야 한다고 생각함. |
29 |
① 프로그램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 코드의 종류가 증가한다. -> n이 증가하면 입력 수가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명령 코드가 증가함. ② 조합 회로가 출력하는 논리상태의 가짓수가 증가한다. -> n입력 수가 증가하면 저장회로의 명령코드 수도 증가함. 그러므로 내부 정보도 증가하는 거싱기에 조합회로의 가짓수가 증가함. ③ CPU가 가질 수 있는 논리 상태의 가짓수가 증가한다. -> CPU구획 클록구획은 아님. ④ CPU에서 진행되는 상태 변경의 속도가 증가한다. -> 상태 변경의 속도 == CPU클록이다로 기계적생각함. ⑤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가 증가한다. -> 데이터에 살짝 매몰되었음. 데이터가 상태변경에 변주인지 헷갈렸는데, 지문 마지막으로 되돌아가고 비슷한 것은 다른 것이라고 생각하여 CPU구획이라고 생각함. |
a는 cpu고 n은 외부 입력으로 생각함. 증가시키면 그만큼 증가하겠지라고 생각했음. 2번 선지까지 판단하다가, 이거 CPU구획만 찾자고 생각함. |
2009언20-22
- 이전글[2020학년도 추리 논증 4번] 23.11.24
- 다음글[2020학년도 추리 논증 3번] 23.11.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