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 언어 이해 19~21]
페이지 정보
본문
[2018학년도 언어 이해 19~21] 성 결정 과정
기본 모델이 아닌 성은 기본 모델로부터 파생된다=기본 프로그램 외에도~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다=남성 호르몬의 작용이 없다면 태아는 여성이 된다.->추가적인 과정은 y염색체의 지령에 의해 생성된 남성 호르몬의 작용
기본 모델, 여성 |
기본 모델이 아닌 성, 남성 |
기본 프로그램으로 충분, |
기본 프로그램으로 충분치 않고, 남성 호르몬 작용 필요 |
여성 남성으로 구획된다면 공통점 차이점도 생각할 수 있음.
공통점-기본 프로그램: 단일성선, 볼프관, 밀러관이 모두 생겨난다. 공통조직으로부터 발달.
차이점 남성 호르몬 여부.
고환이 보내는 신호 2가지 구획. ‘고환은 먼저~, 그 다음에 또 다른 신호를 보낸다.’
19번.
1번 선지. 이 글 자체가 y염색체 없으면 여자가 된다고 말한다.
2번 선지. 고환과 난소는 같은 기관으로부터 발달한다.
3번 선지. 고환이 보내는 신호는 2가지 항밀러관형성인자와 테스토스테론. 병렬관계이다. 임신 초기에는과 임신 7주쯤이라는 말에 순서에 주목해서 읽어야 함을 아는 것 필요. 먼저와 그 다음에 또다른 신호라는 말에 반응 필요. 그럼 2가지 신호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병렬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번 선지. Y 염색체 없으면 여자. 볼프관 퇴화한다는 것은 여자.
5번 선지. 고환이 생기고 밀러관이 퇴화한다. 순서 바뀜.
20번.
항밀러관형성인자와 테스토스테론이 있다는 말은 고환이 있다는 말.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신호에 문제가 있다는 말.
1번 선지. 2가지 신호가 있다는 것은 고환이 있다는 말.
2번 선지. 테스토스테론이 볼프관을 부고환 정관 정낭으로 발달시키니까, 테스토스테론에 문제 있으니까 부고환 정관 정낭도 없음.
3번 선지. 고환이있으니까 난소는 없다.
4번 선지. 성 결정 유전자가 발현해야 고환이 생기고, 고환이 생겨야 2가지 신호가 생긴다.
2가지 신호 있으니까, 고환 있는 것이고, 고환 있으니까 성결정 유전자도 발현되었다.
5번 선지. 항밀러관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밀러관 사라졌다. 밀러관 없다.
21번
㉠은 기본 모델이 아닌 성은 ~에 의해~거쳐~중에 ~로부터 파생된다. 주관식처럼 풀기.
1번 선지. 개체 발생 과정이 아니다.
2번 선지. 온도 아니다.
3번 선지. 포유류는 기본 모델 암->수로 바껴야 한다. 틀림.
4번 선지. 수정란이니 개체발생 과정이 맞고, 성 결정 유전자에 의해 포유류 암->수로 바꼈음 맞다.
5번 선지. 조류는 기본 모델 수컷에서 암컷으로. 틀림.
- 이전글2021추리 16번 23.12.13
- 다음글2016언어20~22번 지문 23.12.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