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1일 수업 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Lanimo 작성일 24-01-24 23:09 조회 14,029 댓글 0본문
[1월 24일] 2~3강
1) 전반적인 시험 관련 내용
법학 공부가 도움이 되는가? : 법학 공부 자체가 도움되는 것은 아니지만, ‘법학적 사고’를 가지고 있으면 리트 고득점 유리
왜? : 법학 쟁점되는 부분 = 리트 쟁점되는 부분
2) 2강
구획 : 제 3의 영역을 고려해야하면, 보통 제시문에서 언급한다 (2018년 18번)
추리 전개방식 : ‘갑&을’은 같은 주제에 대해 반대되는 이야기를 하고, ‘병’은 아예 다른 이야기를 하는 경우 多
“2+2=5” 비판하는 법
(1) 2+2는 5가 아니다
(2) 2+2는 4이다
~있을 것이다
1) 가능성 / CAN
2) 능력 / Ability
3) 탄핵 판결문
어디를 집중해서 보아야 하는가?
어디를 밑줄 그어야 하는가?
4) 질의응답
1. 2회차에 설명하신 “각하와 기각”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관련없는 것 관련있게 만들어 놓은 선지는 “각하인데 기각??”이라 하셨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검색 내용: 기각은 소송요건이나 청구한 내용이 부적절하다고 인정될 때 내려지는 결정이고, 각하는 청구의 형식적인 요건이 갖추어지지 않아 판단을 진행하지 않을 때 내려지는 결정입니다.)
2. ‘선언’해서 틀린 선지라는 의미를, ‘단언/단정’해서 틀린 선지로 바꿔서 생각해도 될까요? 또한 선언한 선지를 봐서 틀렸다고 판단할 때, ‘반례가 있을 거 같은데?’라고 생각해도 되는건가요?
3. 2018년 기역 문제(p53단백질) - 저와 강사님 설명의 차이...
● ㄱ 선지
1. 나의 사고 :
a단백질 : 물질대사 억제 기능 때문에 암 발생 억제하는 것 -> 만약 물질대사 억제 기능과 세포분열 정지 기능이 있는데 그 결과 암 발생이 억제되지 않아야 한다.
-> 우선 a는 억제되지 않고 동일함! 그러나 물질대사 억제기능 때문인지 세포분열 정지기능 때문인지 모른다.
2. 강사님 해설
강사님은 ‘약화’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ㄱ가설이 ‘단백질의 물질대사 억제 기능이 암발새을 억제한다는 가설’의 반대 => ‘단백질의 물질대사 억제기능이 암발생을 억제하지 않는다는 가설’이어야 한다. 현재 A는 억제하지 않은 상황이 아니다???
4. 수업에서 A의 반대는 B이다로 바로 생각할 수 있다 라고 하셨는데, 위험하지 않을까 걱정이 되어서요! 보통 저는 90%를 ~A로 하고 바로 B인 상황은 생각을 안하는데요 (반례가 있을까봐서요.. 그런데 강사님께서 “제 3의 영역을 고려해야하면, 보통 제시문에서 언급한다 (2018년 18번)”라고 해서.... 정말 제시문에서 제 3의 영역을 주어진 것이 아니면 ~A를 B로 바로 연결해도 될지 ... 궁금합니다.
5. 밑줄긋기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