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15년 27-29 리뷰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눈떠라 작성일 24-01-24 17:57 조회 17,484 댓글 0본문
<문제 : 언어 15년 27-29 >
링크화 시킬 문제 : 지구 핵 그림 있는 언어이해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의 변하지 않는 정신, 내가 깨달은 것, 선생님이 말해준 포인트, 무엇이 중요한지
|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 그림도 차원의 구획을 해야한다. (저장회로/ 조합회로)
-> 선지를 판단할 때 관계의 유무 그리고 정오를 판단해야하는 것이지!
-> 동일하다는 거에 맞는 근거를 찾는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어떤 영역의 논의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함.
|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제시문 읽을때 차원의 구획이 중요하다!! (저장/조합)
문제 27.
|
CPU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그에 해당하는 논리 상태는 정해져 있다. |
첫 단락에서 논리상태가 시간에 따라 바뀐다는 것을 강하게 인식했음. 그래서 선지에서 언급하고 있는 그 관계를 간과해버림.. - > 의식적으로 서술어보다 앞대가리부터 따야함! -> 관계의 유무부터 봤어야함. (선지의 판단 1. 관계의 유무 -> 관계의 정오)
수행할 수 있는 기능 ~ 해당하는 논리상태 일대일 대응임 |
② |
인버터는 입력되는 2진수 논리 값과 반대되는 값을 출력하는 논리 소자이다. |
3단락이 인버터 구역이니까 찾아서 대응해! |
③ |
순차 논리 회로에서 저장 회로의 출력은 조합 회로의 출력 상태와 동일하다. |
(동일하다는 차원/ 다르다는 차원 ) 논의평면단어주의 -> 근데 과학지문에서 함부로 선언을 한다? 위험하다 -> 근데 너는 어디가 어디인지도 모르고, 웃기게도 동일하다는 것에 끼워 맞추려고, b0c0을 연결시켜서 틀렸어. 근데, 조금 더 읽어보면 다르게 출력하기도 함. => 1. 순차논리회로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는 4문단 부분을 가라. (사례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거야)
-> 즉 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음! |
④ |
CPU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에 의한 논리 상태 변경을 통해 작업을 수행한다. |
글의 구조를 요약해주는 주제 문장임. |
⑤ |
조합 회로는 2진수 입력에 대해 내부에 구현된 논리 함수의 결과를 출력한다. |
“일상어의 간과 가능” 조합회로 -> 저장은 못하지만, 연산만 가능함. 연산이 가능하다 = 결국 출력을 한다! |
링크 기출 ( 16년 29-32 도플러효과 문제) (추리 18-14)
: 과학지문에서 선언할때 위험하다
언 16-29-1) 움직이는 원자의 속도는 도플러 효과로 인해 더 크게 감지된다.
: 가까워질때는 높은 음 & 멀어질 때는 낮은 음이라고 두 가지 차원을 제시했는데, 한 가지로 선언하는 진술임. (경계해야 함.)
추 18-14) 원인이 무엇이라고 명확하게 진술한 바 없는데, 선지에서 ~을 원인이라고 볼것이다고 함. 대응할 부분이 없을 수 있는데. 선언한다는 것에 홀리지 않기.
문제 28.
김수영~김춘수 문제와 같이 개념의 세부 정보보다 개념 간 관계를 묻는다.
따라서 개념 원리 이해 못해도 문제를 풀 수 있다! (모르는것 넘기다보면, 명확한 답, 눈에!)
( ㄱ은 저장회로에 관한 / ㄴ은 조합회로에 관한 ) 차원임.
① |
㉠은 조합 회로를 통해서, ㉡은 인버터를 통해서 피드백 기능이 구현된다. |
인버터는 저장회로에 관한 것임 OUT |
② |
㉠과 ㉡의 각 회로에서 피드백 기능을 위해 입력하는 정보의 개수는 같다 |
개수를 묻는다? 오래걸리는듯 -> 일단 넘겨! |
③ |
㉠과 ㉡은 모두 외부에서 입력되는 논리 상태를 그대로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
2단락에서 조합회로는 저장안된다고 했음 (~하지만, ~은 안된다. 형식) |
④ |
㉠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이며, ㉡은 논리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이다. |
크게 저장회로/ 조합회로로 나누었을 때 사실상 그 관계, 핵심이 드러나는 문장이라고 할 수 있지. |
⑤ |
㉠은 스위치 S1이 연결될 때, ㉡은 스위치 S2가 연결될 때 피드백 기능이 동작한다. |
대응하는 문제같음 |
-
구획이 중요함
-
일단은 세부 정보 개념의 원리를 이해한다는 것보다는 차원을 구획하고 연결!
29.ⓐ에서 N을 증가시켰을 때의 변화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추리논증형 문제임 (변수추출 대응하기) //
-
(cpu / cpu 클록의 차원으로 접근하기) / 해당 단락에서 cpu가 등장했지. 그렇다면 cpu 클록과의 관계를 의식할 수밖에
-
사실상 질문이 cpu에 적절하지 않는 것은? => 다른 차원인 cpu 클록 의식하기
-
질문에 낚이지 말거라 (변화를 이해한 것으로~ 라는 쌉소리임.. )
-
이제까지의 1-5 단락과 6단락은 약간 더 나아가는 별개의 소리를 굳이 언급했음 이때 문제가 나오지 않을까? 직감하기 (마치 dna 컴퓨팅 ~ 원리 / 평가 )
① |
|
cpu 차원 |
② |
|
cpu 차원 |
③ |
|
cpu 차원 |
④ |
|
cpu 클록 차원 |
⑤ |
|
|
~ 관련 기출 문제
19년 - [법의 본질 (관습이론. 구조이론. 갈등이론) 이항관계지문 ]
2번 문항에서 ㄱ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물어봤음
: 이때 갈등이론 관습이론을 의식적으로 떠올려서 다른것과의 매칭을 통해 각하시켰어야하는 문제였음 / 이와 매우 유사한 문제스타일임
dna 컴퓨팅 원리 / 평가
원리를 진술하다가 + 평가적 진술로 마무리 함 : 다른 결의 내용이 제시되는 구조
= 구획시켜서 대응한다는 점에서 유사함.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