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도 추리논증 22번 > LEET 기출문제 분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LEET 기출문제 분석

기출문제 2015년도 추리논증 22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사례형문제
댓글 0건 조회 11,687회 작성일 23-09-22 18:20

본문

22. 가설 A,B 를 평가한 것으로 옳은 것은?

조류가 군집을 이루어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은 큰 집단을 이루어 살기 위해 치러야 하는 비용이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설명하기 쉽지 않다. 집단 내의 개체수가 많을수록 둥지를 마련하고 짝을 쟁취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진다. 게다가 모여 사는 새떼에는 전염성 질병과 기생충이 퍼질 가능성도 높다. 이러한 잠재적 비용에도 불구하고 새들이 군집 생활을 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 두 가설이 제안되었다.

A: 새들이 군집을 형성하는 이유는 집단에 합류함으로써 개체가 얻는 이익이 홀로 생활할 때에 비해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포식자에 공동으로 대응해서 잡아먹힐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먹이를 찾거나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보를 보다 쉽게 얻을 수 있다.

B: 새들의 군집 생활은 단지 모든 개체가 서식지와 배우자를 선택할 때 본능적으로 동일한 규칙을 적용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부산물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각 개체는 먹이가 풍부하고 포식자가 적은 서식지를 선호하며, 일반적으로 암컷은 강하거나 새끼에게 헌신적인 수컷을 선호한다.

 

① 네브래스카의 벼랑제비 둥지에서 제비벌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순한 살충제로 훈증하면 그러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새끼들의 생존율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A의 설득력을 높인다.

② 아이오와의 둑방제비는 먹이를 얻기 위해 군집을 떠날 때 많은 먹이를 물고 온 다른 제비를 따라가지 않고 사방으로 흩어져 날아간다는 사실은 A의 설득력을 높인다.

③ 뉴질랜드의 동박새 수컷들은 새벽에 경쟁적으로 노래를 부르는데, 영양 상태가 좋을수록 더 오랫동안 복잡한 노래를 부르고 대다수의 암컷들이 복잡한 노래를 길게 부른 수컷을 선호한다는 사실은 B의 설득력을 높인다.

④ 혹독한 추위를 견뎌야 하는 남극의 수컷 펭귄은 암컷이 먹이를 구하러 간 사이에 서로 몸을 붙여 체온을 유지하며 바깥쪽과 안쪽 자리를 서로 번갈아 바꾼다는 사실은 B의 설득력을 높인다.

1950년대 영국의 군집 생활을 하는 푸른박새들 사이에서 문간에 놓아둔 우유병 뚜껑에 구멍을 내고 크림을 마시는 새로운 행동이 순식간에 퍼졌다는 사실은 B의 설득력을 높인다.

 

 

제가 이 문제에 대해 학생분들께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동일한 규칙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분들께서 동일한 규칙에 네모를 치고 주목하시곤 합니다

B: 새들의 군집 생활은 단지 모든 개체가 서식지와 배우자를 선택할 때 본능적으로 동일한 규칙을 적용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부산물에 불과하다.

학생: B의 핵심 부분은 동일한 규칙이고, ⑤의 군집생활을 하는 푸른 박새들 사이에서 새로운 행동이 퍼졌다는 사실도 동일한 규칙에 해당되는데, 왜 ⑤가 답이 될 수 없나요?

이렇듯 많은 분들께서 실전 시험에서 ③과 ⑤ 중 무엇을 답으로 고를지 고민하는 데에 시간을 소모하고 계십니다. 대응형 문제 풀이 시간을 2분으로 줄이지 못하는 원인은 고민하지 않아야 할 부분에서 고민하며 에너지를 투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 AB

리트 같은 적성시험들은 주관적인 부분으로 답의 표지들을 선택하는 게 아니라 객관적인 부분으로 답의 표지를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 만약 영어 문제라고 하면 절대 틀리지 않을 텐데, 한글 문제라서 에너지가 더 들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저는 영어 문제를 풀 때처럼 객관적인 부분으로 답의 표지를 찾을 때에 필요로 되는 사고방식을 ‘AB’라고 지칭합니다.

여러분이 토익 시험이나 토플 시험을 본다고 가정해봅시다.

서식지와 배우자를 선택할 때 본능적으로 동일한 규칙이라는 부분이 영어 제시문으로 출제되었다면 ‘same rule about habitat & mate’라고 적혀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학생분들께서는 그 영어 문제를 풀기 위해 동일한 규칙이라는 뜻의 same rule에 주목해서 same rule about habitat & mate’라고 표시하기보다는, 무엇에 대한 동일한 규칙인지에 주목하기 위해 ‘same rule about habitat & mate라고 표시하실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 선택지 1~5 중에 habitat mate 에 해당되지 않는 선택지가 있으면 고민하지 않고 same rule과 관계 없는 선택지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AB’ 사고방식을 적용해서 객관적인 부분을 대응하여 2015년도 추리논증 22번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B: 새들의 군집 생활은 단지 모든 개체가 서식지와 배우자를 선택할 때 본능적으로 동일한 규칙을 적용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부산물에 불과하다.

제가 이상한 부분에 밑줄을 쳐 두었다는 생각이 드실텐데 속는 셈 치고 제 사고방식을 한번 따라와보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표지가 무엇인지 보이실 텐데, 이 시험에서 동일한 규칙인지 아닌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서식지와 배우자를 선택할 때의동일한 규칙이 중요한 것입니다.

③ 동일한 규칙에 해당됨과 동시에 암컷들이 복잡한 노래를 길게 부른 수컷을 선호한다는 부분이 배우자에 대응되는 부분이므로, 3번 보기가 정답입니다.

⑤ 동일한 규칙에는 해당되지만, 서식지와 배우자에 대응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로캠 커뮤니티 이용규칙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389
어제
2,992
최대
4,441
전체
704,775
Copyright © lawyers.camp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어반컬쳐랩주식회사 / 사업자등록번호: 419-87-02727 / 대표이사: 정태환 / 주소: 경기 용인시 동백중앙로 191 8층 A8924호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2023-용인기흥-2053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정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