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추리논증 24번 > LEET 기출문제 분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LEET 기출문제 분석

2018년도 추리논증 24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사례형문제
댓글 0건 조회 9,775회 작성일 23-09-19 07:43

본문

 

24. ㉠에 대한 근거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기전에 의해 사망하는 것을 화재사라고 한다. 화재 현장에서 불완전연소의 결과로 발생한 매연(煤煙)을 들이키면 폐 기관지 등 호흡기 점막에 새까맣게 매()가 부착된다. 화재 현장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유독가스 중 일산화탄소는 피해자의 호흡에 의해 혈류로 들어가 헤모글로빈에 산소보다 더 강하게 결합하여 산소와 헤모글로빈의 결합을 방해한다. 생체의 피부에 고열이 작용하면 화상이 일어나는데 그중 가장 경미한 정도인 1도 화상에서는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으로 피부로의 혈액공급이 많아져 발적과 종창이 나타난다. 더 깊이 침범된 2, 3도 화상에서는 피부의 물집, 피하조직의 괴사 등이 나타난다. 불길에 의해 고열이 가해지면 근육은 근육 단백질의 형태와 성질이 변하여 위축되는 모양을 띤다. 근육의 위축은 그 근육에 의해 가동되는 관절 부위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관절을 펴는 근육보다는 굽히는 근육의 양이 더 많으므로 불길에 휩싸여 열변성이 일어난 시신은 대부분의 관절이 약간씩 굽은 모습으로 탄화된다.

한편, 화재 현장에서 변사체가 발견되어 부검이 시행되었다. 부검을 마친 법의학자는 ㉠희생자가 생존해 있을 때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기전에 의해 사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보 기>

 

 

 

. 불에 탄 시체의 관절이 약간씩 굽어 있다.

. 얼굴에 빨간 발적이나 종창이 일어난 화상이 있다.

. 혈액 내에 일산화탄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 농도가 높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

 

이 문제는 제가 로스쿨 입학할 당시 쳤던 리트 시험에서 시험장에서 풀어봤던 문제라서 제 기억에 강렬히 남아 있어서 가지고 왔습니다. 학생분들께서 24번 문제를 풀고 있을 때의 체력 상태를 같이 고려해보시면 좋겠습니다.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기전에 의해 사망하는 것을 화재사라고 한다. 화재 현장에서 불완전연소의 결과로 발생한 매연(煤煙)들이키면 폐 기관지 등 호흡기 점막에 새까맣게 매()가 부착된다. 화재 현장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유독가스 중 일산화탄소는 피해자의 호흡에 의해 혈류로 들어가 헤모글로빈에 산소보다 더 강하게 결합하여 산소와 헤모글로빈의 결합을 방해한다. 생체의 피부에 고열이 작용하면 화상이 일어나는데 그중 가장 경미한 정도인 1도 화상에서는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으로 피부로의 혈액공급이 많아져 발적과 종창이 나타난다. 더 깊이 침범된 2,3도 화상에서는 피부의 물집, 피하조직의 괴사 등이 나타난다. 불길에 의해 고열이 가해지면 근육은 근육 단백질의 형태와 성질이 변하여 위축되는 모양을 띤다. 근육의 위축은 그 근육에 의해 가동되는 관절 부위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관절을 펴는 근육보다는 굽히는 근육의 양이 더 많으므로 불길에 휩싸여 열변성이 일어난 시신은 대부분의 관절이 약간씩 굽은 모습으로 탄화된다.

한편, 화재 현장에서 변사체가 발견되어 부검이 시행되었다. 부검을 마친 법의학자는 ㉠희생자가 생존해 있을 때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기전에 의해 사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의해: 영어로 by, 방법이라는 변수입니다.

발생한, 들이키면, 가해지면: ~하면 ···하다는 구조로, 밑줄의 앞과 뒤가 조건과 조건에 대한 결과를 나타냅니다.

변하여, 더 많으므로: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로, 영어에서 전치사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밑줄을 쳤습니다.

더 많으므로: 비교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새까맣게, 되는데: 언덕을 만들어서 끊어 읽기 위한 장치입니다. 그러니까 변수에만 밑줄을 치는 것은 아니고, 너무 긴 문장이 있으면 끊어주는 역할도 밑줄이 합니다.

1도 화상에서는, 2,3도 화상에서는: 나중에 1도 화상인 경우와 2,3도 화상인 경우를 구분해서 대응해야 할 상황이 생기면 돌아오기 위해 네모 표시 했습니다.

 

제시문을 읽고 나니 실제 시험장에서 기억나는 게 거의 없어서 순간적으로 저도 너무 당황했던 기억이 납니다. 문제를 처음 풀 때 모든 문제에서 프로페셔널하게 그 문제가 요구하고 있는 함수를 바로 파악하기 힘듭니다. 학생분들께서도 문제가 안 풀리고 있으면 뭔가 잘못되고 있다는 것은 알아채실텐데, 그럴때는 제시문으로 돌아가서 형식적인 독해를 통해 변수를 재발굴해야겠다는 생각을 해야 합니다.

24번 문제이고 과학추리문제이다 보니 체력이 떨어져 지쳐서 무의미하게 읽어나가던 와중에도 저에게는 형식적으로 대응할 부분에 밑줄을 쳐 두었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머릿속을 리프레시하고 다시 제시문으로 돌아갔습니다.

 

㉠희생자가 생존해 있을 때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기전에 의해 사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때에: 시간이란 변수를 확인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의해: ‘화재 기전에 의해의해에 밑줄 쳤습니다. 영어로 by, 방법이라는 변수입니다. ㉠에서 형식적으로 변수를 주웠으니, 이제는 제시문으로 다시 돌아가서 아무 생각 없이 글을 맹목적으로 읽는 게 아니라 시간과 방법이라는 변수를 확인해서 각 선택지와 대응할 차례입니다. 시간이라는 변수를 고려하면, 사람은 살아있을 때와 죽어있을 때로 나뉩니다. 그때 제가 궁금한 것은 살아있을 때입니다. 죽어 있을 때는 관련이 없으니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방법이라는 변수를 고려하면, 화재 때문에 발생한 현상인지 아니면 화재가 아닌 다른 것 때문에 발생한 현상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불에 탄 시체의 관절이 약간씩 굽어 있다.

 

근육의 위축은 그 근육에 의해 가동되는 관절 부위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관절을 펴는 근육보다는 굽히는 근육의 양이 더 많으므로 불길에 휩싸여 열변성이 일어난 시신은 대부분의 관절이 약간씩 굽은 모습으로 탄화된다.

 

시간이라는 변수를 고려하면, 우리가 궁금한 것은 살아있을 때만 궁금한 건데 관절이 굽는 것은 살아있을 때에도 일어나지만 죽어있을 때에도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방법이라는 변수를 고려하면, 화재 때문에 발생한 현상에 해당됩니다. 그래서 맞는 것 같다고 생각했지만, 시험장에서는 일단 ㄱ.이 첫 번째 선택지라 확신을 갖지는 못했습니다.

 

시간과 방법이라는 형식적으로 대응할 변수를 갖고 ㄴ.과 ㄷ. 으로 내려가자, 처음에 제시문을 읽을 때는 보이지 않았던 일상어가 변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비로소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희생자가 생존해 있을 때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기전에 사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 얼굴에 빨간 발적이나 종창이 일어난 화상이 있다.

생체(살아있을 때)의 피부에 고열이 작용하면 화상이 일어나는데 그중 가장 경미한 정도인 1도 화상에서는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으로 피부로의 혈액공급이 많아져 발적과 종창이 나타난다.

. 혈액 내에 일산화탄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 농도가 높다.

화재 현장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유독가스 중 일산화탄소는 피해자의 호흡(살아있을 때)에 의해 혈류로 들어가 헤모글로빈에 산소보다 더 강하게 결합하여 산소와 헤모글로빈의 결합을 방해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로캠 커뮤니티 이용규칙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2,410
어제
746
최대
4,441
전체
703,804
Copyright © lawyers.camp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어반컬쳐랩주식회사 / 사업자등록번호: 419-87-02727 / 대표이사: 정태환 / 주소: 경기 용인시 동백중앙로 191 8층 A8924호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2023-용인기흥-2053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정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