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2018년도 추리논증 14번
페이지 정보
본문
갑:어떤 것이 없다거나 어떤 것을 행하지 않았다는 것은 원인이 될 수 없어. 예를 들어, 철수가 화초에 물을 주지 않았다는 것이 그 화초가 죽게 된 원인이라고는 할 수 없지. 다른 것의 원인이 되기 위해서는 일단 존재하는 것이어야 하니까. 만약 철수가 화초에 뜨거운 물을 주어 화초가 죽었다면, 철수가 준 뜨거운 물이 화초가 죽게 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지. 철수가 준 뜨거운 물은 존재하는 것이니까 말이야.
을:원인이 되는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더라면 결과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지가 원인과 결과를 찾는 데 중요해. 철수가 화초에 물을 주었더라면 화초가 죽는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을 거야. 그런 점에서 철수가 화초에 물을 주지 않았다는 것이 화초가 죽게 된 원인이라고 해야겠지.
병:이미 일어난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을 상황을 상상하라는 것은 지나친 요구가 아닐까? 어떤 사건이 다른 사건의 원인인지 여부는 경험할 수 있는 것을 토대로 밝혀져야 한다고 생각해. 어떤 사건이 일어난 시점 이후에 다른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에만 앞선 사건이 뒤이은 사건의 원인일 수 있어. 물론 그것만 가지고 그 사건을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말이야.
<사례>
탐험가 A는 홀로 사막으로 탐험을 떠날 예정이다. 그런데 그의 목숨을 노리는 두 사람 B와 C가 있다. A는 사막에서 생존하는 데 필수적인 물을 물통에 가득 담아 챙겨 두었다. B는 몰래 이 물통을 비우고 물 대신 소금을 넣었다. 이후 이를 모르는 C는 A가 탐험을 떠나기 직전 물통을 훔쳤다. 탐험을 떠난 A는 주변에 마실 물이 없었기 때문에 갈증 끝에 죽고 말았다.
ㄱ.갑은 A 주변에 오아시스가 없다는 것이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보지 않을 것이다.
ㄴ.을은 B의 행위와 C의 행위가 각각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볼 것이다.
ㄷ.병은 B의 행위가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볼 것이다.
ㄱ.갑은 A 주변에 오아시스가 없다는 것이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보지 않을 것이다.
제시문에서 갑의 입장은 갑의 첫 번째 문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갑: 어떤 것이 없다거나 어떤 것을 행하지 않았다는 것은 원인이 될 수 없어.
없다거나: 영어로 or, 즉 ‘또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전형적인 대응형 문제로서, 둘 중 하나 조건 그대로의 대응입니다.
즉 갑은 ‘어떤 것이 없다는 것은 원인이 될 수 없다.’를 맞다고 보는 입장이기 때문에, ‘어떤 것’의 자리에 ‘주변에 오아시스가 없다는 것’이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ㄱ은 맞습니다.
ㄴ은 ‘B의 행위와 C의 행위 ‘각각’이 원인이라고 볼 것이다.’라고 하므로, ㄴ이 맞으려면 아래 두 가지가 모두 옳아야 합니다.
① 을은 B의 행위가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볼 것이다.
② 을은 C의 행위가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볼 것이다.
그러므로 ①과 ②가 옳은지 확인해봅시다.
제시문에서 을의 입장은 을의 첫 번째 문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을:원인이 되는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더라면 결과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① 을은 B의 행위가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볼 것이다. (X)
B가 몰래 물통을 비우고 물 대신 소금을 넣지 않았으면 A가 죽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B가 몰래 물통을 비우고 물 대신 소금을 넣지 않았어도 C가 탐험을 떠나기 직전 물통을 훔쳤기 때문에 A는 죽을 것입니다. 따라서 을은 B의 행위가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보지 않을 것입니다.
② 을은 C의 행위가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볼 것이다. (X)
C가 탐험을 떠나기 직전 물통을 훔치지 않았으면 A가 죽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C가 탐험을 떠나기 직전 물통을 훔치지 않았어도 B가 몰래 물통을 비우고 물 대신 소금을 넣었기 때문에 A는 죽을 것입니다. 따라서 을은 C의 행위가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보지 않을 것입니다.
ㄷ.병은 B의 행위가 A가 사망한 사건의 원인이라고 볼 것이다.
제시문에서 병의 입장은 병의 마지막 두 문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건이 일어난 시점 이후에 다른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에만 앞선 사건이 뒤이은 사건의 원인일 수 있어. 물론 그것만 가지고 그 사건을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말이야.
ㄷ은 단순 추출 대응으로 해결되는 선택지였습니다.
병의 입장에 밑줄을 쳐보면 병의 입장에서 대응 포인트가 되는 지점은 두 가지였습니다.
① 어떤 사건이 일어난 시점 이후에 다른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인가?
② ①에 해당된다는 것만 가지고 그 사건을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① 어떤 사건이 일어난 시점 이후에 다른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인가?
<사례>에 따르면, 몰래 물통을 비우고 물 대신 소금을 넣은 B의 행위가 일어난 시점 이후에 A가 사망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①에 부합하므로 ②로 넘어갑니다.
② ①에 해당된다는 것만 가지고 그 사건을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B의 행위가 ①에 해당되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 병의 입장입니다. 그런데 ㄷ은 ‘원인이라고 볼 것이다.’라고 단정짓고 있습니다. 따라서 ②에서 부합하지 않으므로 ㄷ은 틀렸습니다.
- 이전글2018년도 추리논증 15번 23.10.01
- 다음글2018년도 추리논증 24번 23.09.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