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2018-12 추리
페이지 정보
본문
2018추12
- POINT : 놓친 부분, 문제에서 기존과 배경지식 차원상 정도의 차이
상당히 어려웠던 지문이었음. 지문의 차원에서 놓친 부분이 많아 아쉬웠던 지문 |
어려웠다고 느꼈던 것 치고는 간단한 상하차원이었음. |
해당 차원 상하차원의 구획을 찾는 부분을 많이 연습하지 못한게 아쉬움. |
보기선지에서 차원을 구획하지 못해 결국 지문과 대응하는 것이 많았던 상태였음. |
- WRONG : 처음 풀이 사고 과정 및 어디서 잘못 됐는지 깨닫기, 교정해야 하는 구체적 부분
지문 |
a견해: 예상외 라는 단어를 보고 거짓과 ~거짓으로 구획하긴 함. 그러나 나쁨과 ~나쁨으로 있는 그대로만 봄. 그러니가 논의의 평면적 단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었음. |
B의 견해: 이유 -> 거짓 ~이유 -> ? 판단하지 못함... 이부분은 변주가 잘되지 않았고, 원인의 구획에 들어가는 행위라는 부분을 구획하지 않은 상태에서 변주 자체를 보지 못함. 그러니까 원인/결과 구획을 하지 않은 상태였어서 더욱 문제였던 것. |
- CORRECT : 올바른 풀이과정
A |
상/하구획으로서 문장에서 결과가 오히려 -> 를 보고 원인을 예측할 수 있었음. 원인/결과의 구획이 상위 차원이며, 그에 따라서 하위 차원으로 거짓/책임으로 잡히는 듯함. |
판단하지 못한 것은 상하구획 중 상위차원인 원인/결과를 떠올리지 못함. 문장에서 -의 결과, -> 원인을 예측했어야 하고, “결과는 순리에 맡기는 것이다.”문장을 통해 ~책임/책임 차원으로 하위가 분리된다는 것도 알았어야 함,. |
|
이후 원인/결과의 분리를 생각했어야함. |
|
B |
b의 경우도 상/하구획으로 보았어야 함. 공통적 상위 구획으로 원인/결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인식했어야 했음. 그에 따라서 b는 추가로 하위차원에 이유 -> 거짓 -> ~책임 으로 판단하고, ~이유인 부분은 “물론 그러한 행위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 우리는 절대 확신할 수 없다.”문장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의 행위의 결과에 대해 상당 정도 확신할 수 있고 ->로 ~이유 -> ~거짓 -> ~책임으로 구획되었어야 했다고 봄. |
변주가 잘 되지 않음.... 생각해보건데, 애초에 원인/결과 구획을 하지 않은 상태라 더욱 변주가 되지 않았던 것 같다. |
|
|
|
|
|
|
ㄱ |
a는 거짓말로 인한 책임 그러나 ~거짓말의 경우 책임이 없다. -> 이부분을 구획하지 않아서 그냥 대응하며 풀었음... 시간이 오래걸림 |
차원의 구획이 그대로 나타남. 거짓 -> 책임 ~거짓 -> ~책임 |
ㄴ |
b는 행위의 결과 -> 나쁨이 타당할 수 있다. -> ㄴ도 구획이 되지 않아서 오히려 찾기도 어려웠고, 대응하는 것도 잘 되지 않았음. |
B의 구획이 그대로 투영됨 -> 이유 -> 거짓 -> ~책임 |
ㄷ |
A와B 모든 행위의 옳고 그름은 결과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 -> ....판단하지 못함... 그냥 결과와 원인을 구획하지 않아서 풀지 못했던 것 같다. |
이부분은 A와B의 구획을 제대로 잡았다면 바로 확인할 수 있었음. 비슷한 것은 다른 것으로서 연결은 되어 있으나, 그 연결이 전적으로 되어 있다는 것인 아니였음. 또한 행위의 옳고 그름이기 때문에 A의B와 같이 행위에 초점이 가면서 행위 차원의 거짓말이 결과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았어야 함. |
ㅇ
- 이전글2018 추리 29번 23.11.22
- 다음글2019언어13-15 칸트와 헤겔 지문 23.11.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